728x90
Constructor function, in operator, for...in, for...of 오늘 내가 배운 것 Constructor function object를 필요할 때 일일이 만들어 쓰면 불가피하게 동일한 key와 value를 반복해서 작성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것을 함수를 이용해서 값만 전달해주면 object를 만드는 유용한 함수 기능이 있다. 다른 계산을 하지 않고 순수하게 object만 생성하는 함수는 대문자로 함수명을 지정해주고 return 대신 this를 이용하여 작성하고 호출할 때는 new 키워드를 이용하여 new 함수명으로 만든다. in operator 해당하는 object 안에 키가 있는지 확인하는 기능 'key' in object로 사용 Console.clear(); 기존..
Object, Literals and properties, Computed properties 오늘 내가 배운 것 1. Literals and properties 일반적으로 작성 시 parameter 가 많아지면 추가해야 할 것이 많아지기 때문에 관리하기 힘들고 그룹으로 묶어서 생각할 수 없기 때문에 힘들다. 이것을 개선하고자 Object 를 사용한다. object = { key : value }; 구조로 이루어짐 Object 는 key와 value의 집합체이다. Object를 만드는 방법은 2가지가 있다. 1. 괄호 {}를 사용하는 방법 (object literal) const obj1 = {} 2. new 키워드를 이용해서 만드는 방법 (object constructor) const obj2 = ne..
class, object, public&private, static, 상속과 다양성 오늘 내가 배운 것 Public & Private 생성자를 쓰지 않고 정의할 수 있다. 그냥 정의하게 되면 public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고), #기호를 붙이게 되면 private(class 내에서만 값이 보여지고 접근이 되고, 값이 변경이 가능하다.) Static (타입스크립트에서도 많이 쓰인다.) 오브젝트가 아닌 클래스에 연결해서 사용한다. static함수를 호출 할 때도 클래스 이름을 이용해서 호출 해야한다. (static은 클래스에 붙여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클래스로 호출하는 것이고, 클래스로 호출 하기 때문에 오브젝트를 생성하지 않고 바로 참조할 수 있다.) class.~~ //ok object.~~ //er..
함수의 선언과 표현, class VS object 오늘 내가 배운 것 클래스 안에는 속성(field)과 행동 (method)가 있다. 클래스는 조금 더 연관이 있는 데이터들끼리(속성 + 행동) 묶어 놓은 것을 말한다. (관련이 있는 변수나 함수들을 묶어 놓은 것.) 간혹 속성(field)만 있는 경우 가 있는데 그것을 데이터 클래스라고 부른다. Class 데이터가 들어있지 않고 틀, 템플릿만 정해놓은 것 -template -declare once -no data in Object -instance of a class -created many times -data in 클래스를 이용해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하면 오브젝트가 된다. 오브젝트는 클래스를 이용해서 굉장히 많이 만들 수 있다. 클래스는 정의만 한..
함수의 선언과 표현 오늘 내가 배운 것 function + 함수 이름 + (param1, param2) { 기본적인 로직 + return;} 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나의 함수는 한 가지의 일만 하도록 만들어야 한다. 함수의 이름은 동작하는 것 이기 때문에 do-something, 명령어 구조, 동사형태로 작성해야 한다. 함수의 이름을 짓기 어렵다면 함수에 정의되어있는 일이 너무 많지 않은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깨끗하게 만들자) 자바 스크립트에서 function은 object의 일종이다 그래서 function 이 변수, 파라미터, 함수를 리턴할 수도 있게 된다. (나중에 object, prototype에서 다시 다룰 예정) JS에서는 타입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함수 자체의 인터페이스를 봤을 때 이 ..
4. 코딩의 기본 operator, if, for loop 오늘 내가 배운 것 `` (백텍)의 좋은 점은 중간에 줄바꿈을 하거나 ‘’ (홑 따옴표)을 사용하면 그대로 문자열로 변환돼서 보인다. 예를 들어 console.log(‘Ellie’s book’); (홑 따옴표 가득...) 이라고 하면 중간의 홑 따옴표나 특수기호가 인식이 되지 않는데 이때는 console.log(‘Ellie\’s book’); ‼️홑따옴표 앞에 백 슬러시를 이용해서 대입해 주어야 제대로 출력이 된다.‼️ 줄 바꿈은 \n 탭은 \t || (1가지라도 true 면 true ) Value 1 , value 2에서 true 가 나오면 뒤는 판단하지 않는다. (밑에 코드 노트 참고.) 그래서 Value 1 이 true 였으면 value 2..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