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일반적인 웹사이트에서 자주 쓰이는 tag(태그),element(엘리먼트)그리고 그 태그의 특징, 속성, 속성 값 ~ 제목 엘리먼트 보통 로고나 홈페이지의 메인이 h1, 부제목, 카테고리 순으로 숫자가 커진다. 특징 : 숫자가 작을수록 크기가 커진다.커진다. 일반 텍스트보다 굵기가 굵어짐. , 리스트를 작성할 때 많이 쓰인다. ul이랑 li 이는 같이 쓰이며 ul 안에 li를 작성한다. ul의 특징은 li들을 묶어주는 역할 정도로 사용하면 된다. (앵커) 링크를 걸기 위해서 사용하는 엘리먼트 속성 href 와 같이 쓰인다. 속성을 쓸 때는 쿼리 스트링 형태 query string =“” 를 같이 사용한다. " "안의 링크가 현재 url을 바꿔 준다. , 구역을 나눠서 내용을 적을 때 사용한다. 가장 기본적..
컴퓨터는 왜 2진수를 사용하는가? 컴퓨터는 전류가 흐르고, 안 흐르고 (ON/OFF)로만 표현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0과 1 로만 모든 것을 표현해야 한다. 2진수 1자리 수는 2가지(0, 1)를 표현할 수 있고, 2자리 수는 4가지(00,01,10,11) 를 표현 할 수 있다. 0과 1을 표현하는 1자리 수를 1 bit (비트)라고 하는데, 1bit가 8자리가 되면 8 bit 8bit = 1byte(바이트) = 2 nibble(니블) 이다. 1 nibble은 4bit인데 4bit는 16가지를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16진수의 범위와 일치한다. 16진수는 순서대로 0, 1, 2, 3, 4, 5, 6, 7, 8, 9, A, B, C, D, E, F 로 표기해서 쓸 수 있다. 16진수를 사용하는 이유..
클론코딩 - CSS 속성 1. min-height / max-height 2. clear: both; 3. border-radius 4. background : url 5. border 1. min-height , max-height 블럭의 최소, 최대 높이를 설정하는데 사용하는 속성 width 도 마찬가지로 사용할 수 있다. 2. clear: both; float를 사용한 후 블럭이 좌,우측에 있을 때 좌측을 채우는 과정에서 우측의 블럭의 양이 적을 경우 밑에 오는 블럭이 우측 블럭 밑으로 채워지는 현상이 있었다. ( 빈 공간에 채워짐..) 나누어 놓은 블럭에 관계없이 기본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속성 속성값으로는 both, right, left 가 있지만, 내가 원하는 레이아웃을 이미 만들어 놨기 때..
CSS 블럭 위치 조절 3가지 방법 display : inline-block 속성 float 속성 position **포지션을 쓰면 z-index를 다 써주는 것이 좋다. display : inline-block 속성 display 의 속성 값으론 inline , inline-block, block 이 있다. inline 형태의 특징으로 margin 과 width 의 속성을 이용할 수 없다. 그래서 위치 변경의 어려움이 있는데 그것을 display : inline-block ; 사용하여 inlin-block 형태를 취하게 되면 inline의 특징을 가지면서 block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width, height, padding, margin을 모두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위치 조절을 하는데 용이하다. ..
CSS CSS : Cascading Style Sheets 웹 문서의 전반적인 스타일을 미리 저장해 둔 스타일시트 CSS 선택자 선택자 예시 설명 # #header{} id . .header{} class (element) body{} 엘리먼트 전체 * *{} 전체 > ul > li {} ul 안에 있는 li , ul, li {} ul 과 li CSS 속성 속성 속성값 설명 display none, block, inline, inline-block ... 블럭형태, 인라인형태를 설정 margin a, b, c, d; 블록 바깥 여백(간격 띄울 때) padding a, b, c, d ; 블록 내부 여백(간격 띄울 때) float right, left 블럭이 기본 틀에서 빠져서 텍스트나 인라인 요소가 그 주..
브라우저란? 평소엔 검색을 위한 용도로만 알고 있었지만, 이제는 HTML을 해석해주는 도구로 확장시키자. 브라우저는 주소창과 , HTML을 해석해서 화면에 보여주는 부분으로 나뉠 수 있다. HTML은? Hyper Text Mark-up Language 의 약자로 인터넷의 하이퍼텍스트를 표현하기 위한 언어 로 작성한다. 와 시작과 끝을 의미하는 것으로 HTML에선 필수! VScode HTML을 작성하는 데는 메모장으로도 충분히 할 수 있지만, 작업의 편의성( 를 작성하면 까지 작성)을 위해 VScode (Visual Studio Code)를 이용한다. VScode - 1. 작업 폴더 생성 및 설정 2. 텍스트 파일 만들기 (.html) 3. 한국어 설정하기 4. Live server 설정하기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