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 내가 배운 것 1. HTML - form 태그 2. CSS - :before, :after 3. 반응형 웹 - 미디어 쿼리 1. HTML-form 태그 form 태그 : 사용자가 제공하는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태그 (사용자의 데이터를 수집한다.) 로그인 아직도 회원이 아니신가요? 회원가입 input 태그를 이용할 때 form 태그를 상위 태그로 사용해 데이터를 서버에서 저장한다. form태그를 쓸 때는 상위에 다른 엘리먼트로 감싸서 사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form 태그의 필수 속성으로 속성 method 와 속성 action이 있다. 속성 action 과 속성 method action의 속성 값은 “링크” 이다. (button type=”submit” 과 연동해서 작동한다.) m..
오늘 내가 배운 것 1. CSS 선택자 2. HTML 3. !important 4. box-shadow 1. CSS 선택자 ~ 결합자 부모가 같은 형제 태그를 선택할 수 있다. input[type=”checkbox”] {} input 태그에서 타입이 체크박스인 요소를 선택 2. HTML HTML에서 클래스를 2개 적용시키기 2가지 클래스 사이에 띄어쓰기를 사용한다. ex) class=”aa bb” html - table 엘리먼트 행과 열로 이루어진 표를 만든다. 1줄(행) or 1칸(열) th : 머리글 기본적으로 굵고, 가운데 정렬되어있다. (제일 위에 각 칸에 종류를 만들 때 사용) border-collapse: collapse; 테두리를 겹치게 한다. border: 1px 테두리를 그리면 겹치는 부..
오늘 내가 배운 것 1. HTML - label, CSS - '+' 결합자 2. HTML 속성과 속성 값 3. CSS 속성과 속성 값 4. CSS 선택자 1. HTML-label, CSS- '+' 결합자 HTML- 태그 label에 for 속성, input의 id를 속성 값으로 준다면 label의 데이터를 선택했을 때 input을 선택해 주는 방법이 있다. CSS - “+” 결합자 ex) label + #user 첫 번째 요소의 바로 뒤에 위치하면서 같은 부모를 공유하는 두 번째 요소를 선택하는 결합자 아이디 2. HTML 속성과 속성 값 input 태그의 type="radio" 속성 name=”” 을 이용해서 이름을 정해주고 이름이 같은 radio 끼리 중복 선택이 불가능하다. 보통 성별을 선택하는 항..
1. 네이버 회원가입 클론코딩 어제 했던 수업을 다시 처음부터 복습해봤다. https://baekspace.tistory.com/31 221021 CSS와 네이버 클론코딩 오늘 내가 배운 것 1. HTML element 2. CSS 3. CSS 적용시키는 3가지 방법 4. CSS 선택자, 속성, 속성값 1. HTML element 웹사이트 브라우저를 구성을 확인하다 보면 address, section, article, aside 태그를 볼.. baekspace.tistory.com 아쉬운 점으로 밑에 내용이 있었는데 1. 처음에 레이아웃을 짤 때 input 안에 블록을 더 세분화해서 넣었어야 했는데, 세분화하지 못해서 위치를 세세하게 이동시킬 수 없었다. 조금 진행된 상태에서 파악을 한 부분이라 코드 전..
오늘 내가 배운 것 1. HTML element 2. CSS 3. CSS 적용시키는 3가지 방법 4. CSS 선택자, 속성, 속성값 1. HTML element 웹사이트 브라우저를 구성을 확인하다 보면 address, section, article, aside 태그를 볼 수 있는데, 이 태그들이 다른 특별한 역할이 있다기 보단 시멘틱 구성 태그이다 어떤 부분이 무엇을 구성하고 있는지 쉽게 파악하기 위한 태그 큰 영역을 놓고 보자면 div와 같은 역할을 한다. 2. CSS Cascading Style Sheets HTML은 데이터를 구분해주는 정도까지만 역할을 한다. 그 데이터를 꾸며주고 모양을 만들어주는 역할은 CSS가 한다. CSS는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고, HTML이랑 같이 사용해야 한다. 3. C..
오늘 내가 배운 것 1. 2진수, 16진수 2. 브라우저와 HTML 3. 자주 쓰이는 태그(엘리먼트)와 속성, 속성 값 1. 2진수와 16진수 컴퓨터는 왜 2진수를 사용하는가? 컴퓨터는 전류가 흐르고, 안 흐르고 (ON/OFF)로만 표현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0과 1 로만 모든 것을 표현해야 한다. 2진수 1자리 수는 2가지(0, 1)를 표현할 수 있고, 2자리 수는 4가지(00,01,10,11) 를 표현 할 수 있다. 0과 1을 표현하는 1자리 수를 1 bit (비트)라고 하는데, 1bit가 8자리가 되면 8 bit 8bit = 1byte(바이트) = 2 nibble(니블) 이다. 1 nibble은 4bit인데 4bit는 16가지를 표현할 수 있다. 그래서 16진수의 범위와 일치한다. 16진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