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 내가 배운 것 1. req, res 2. bodyParser 3. static 4. template engine 5. request method POST 6. redirect 이것을 express로!!! #package.json 생성 npm init -y # template engine 이 많이 있는데, 그중에 nunjucks 를 이용할 예정이다. # node modules 생성됨 npm install express nunjucks git을 사용하게 되면 .gitignore에 node_modules를 넣어준다. npm으로 설치할 수 있는 쉽게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이 폴더 자체를 같이 올릴 필요는 없다. 서버 열기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ap..
오늘 내가 배운 것 1.HTTP 통신 - Request message 구현 - Response message 구현 HTTP 통신하기 통신을 하기 위해서 서버(server)랑 클라이언트(client)가 있어야 한다. HTTP통신에서는 브라우저가 클라이언트의 역할을 한다. 오늘은 HTTP통신을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클라이언트 대신 브라우저라고 한다. 기본적으로 통신을 위해서는 서버와 브라우저의 연결이 필요하기 때문에 3 way Handshake를 이용해서 연결이 되고, 데이터를 요청 후 응답이 오면 통신을 끊기 위해 4 way Handshake로 연결이 끊는데 이 부분은 이전 글에서 했으니 이전 글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https://baekspace.tistory.com/82 221208 - TCP/UDP..
오늘 내가 배운 것 1. 과거와 현재 HTTP 통신 방식 비교 2. HTML 파일 열기 과거와 현재 HTTP 통신 방식 흐름 비교 그림을 확인하면서 읽어주세요. 과거에는 백엔드 개발자가 웹페이지를 구현하였는데, 클라이언트가 백엔드에 요청을 하면 백엔드에서 정보를 처리해서 응답을 주는 방법과, API, DB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는 API, DB에 백엔드가 요청하고 응답을 받고 응답을 받은 내용을 다시 클라이언트에게 응답해주는 방식을 이용하였다. 기본적인 화면을 구성할 때에도 이런 방식을 통해서 데이터를 받아서 구현하였다. `React`라는 것이 만들어지면서 프런트엔드의 개념이 생겨났는데, 프런트엔드가 생기면서 클라이언트는 프런트엔드와 통신을 하면서 기본적인 화면을 구성하고, AJAX 방식을 이용하여 클라이..
오늘 내가 배운 것 1. HTTP 이해 2. HTTP 특징 3. HTTP 동작 방식 4. Request Message, Response Massage HTTP 이해 HTTP : HyperText Transfer Protocol 브라우저도 하나의 `클라이언트`이다. HTTP는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인터넷상에서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규칙) 규칙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모든 프로그램이 이 규칙에 맞춰 개발하면서 정보를 교환할 수 있다. HTTP는 어떤 종류의 데이터도 전송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동영상, 오디오, 텍스트 문서 등...) HTTP는 계속 발전하여 HTTP/2까지 버전이 있고, 현재 가장 많이 쓰는 버전 HTTP/1.1이다. HTTP 특징 HTTP는 연결 상태를 유지하지 않은 '비연결..
오늘 내가 배운 것 1. TCP/UDP 2. TCP 통신하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확실히 주고받고 싶을 때는 `TCP`를 사용한다. TCP는 통신할 컴퓨터끼리 ‘보냈습니다’, ‘도착했습니다’라고 서로 확인 메시지를 보내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높인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의 신뢰성은 보다 빨리 보내고 싶을 때는 ‘UDP’를 사용한다. UDP는 데이터를 보내면 그것으로 끝이므로 신뢰성은 없지만 확인 응답과 같은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통신의 신속성을 높인다. TCP / IP TCP : L4(Transport layer) - 식별자 : Port IP : L3((Network laye..
오늘 내가 배운 것 1. OSI 7 계층, TCP/IP 4 계층과 고유 식별자 2. 네트워크 호스트 Switch End-point 3. 라우터 OSI 7계층, TCP/IP 4 계층과 고유 식별자 물리 계층(Physical layer) 데이터 전달의 역할만 한다. 물리적인 연결이 이루어지는 곳이다. 네트워크의 기본 네트워크 하드웨어 전송 기술을 이룬다. 전송 단위는 Bit를 사용한다. 데이터 링크 계층(Data link layer) 주소 값은 물리적으로 할당받음. 전송 단위는 Frame 데이터 링크 계층의 예는 이더넷 물리계층의 있는 그대로의 전송설비를 신뢰할 수 있는 링크로 변환 랜카드가 만들어 질 때 고유 번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1~2 계층 합쳐서 MAC Address를 식별자로 사용함 네트워크 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