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3주간 진행했던 프로젝트가 마무리 됐다. 목차 1. 시연 내용 1-1. 메인페이지 1-2. 로그인 페이지 1-3. 채팅 기능 1-4. 인기 게시글, 인기 멤버 ( 랭킹 기능 ) 1-5. 알림 기능 1-6. 게시판 CRUD 1-7. 댓글 기능 1-8. 좋아요 기능 1-9. 리스트 페이지 1-10. 검색기능 1-11. 나의 반응 페이지 1-12. 에러 처리 1-13. 배포 2. 회고 1. 시연 1-1. 메인 페이지 메인 페이지 진입 시 게시판 데이터를 랜덤으로 불러와서 카드에 하나씩 보여준다. 각 카드의 사진이나 제목을 통해서 view 페이지로 이동 가능하다. 카드의 하단부 클릭 시 게시글의 정보를 간단하게 볼 수 있다. 1-2. 로그인 페이지 회원가입 시 ID와 Nickname을 input 이벤트를 통해 ..
PROJECT 2 프로젝트 기간 : 2023.01.30 ~ 2023.02.19 프로젝트 내용 : 더보기 사용자페이지 1. 회원가입 로컬 회원가입 API를 이용한 회원가입 2. 메인페이지 로그인 카테고리 리스트 게시물 리스트 검색기능 3. 게시물 리스트 대표이미지 해당 게시물 좋아요 및 좋아요 취소 해쉬태그 댓글 4. 게시물 등록 카테고리 대표이미지 5장 컨텐츠 내용 해쉬태그를 N개만큼 등록 5. 게시물 보기 게시물 보기 게시물에 게시자 정보 게시물에 해당하는 댓글 6. 채팅기능 전체 채팅 기능 구현 7. 검색기능 사용자는 제목, 글내용, 해쉬태그 내용에 따른 검색이 가능하다 사용자 검색시 해당 사용자의 프로필 정보 / 등록 게시물을 볼 수 있음 8. 랭킹기능(선택사항) 사용자 별 point 랭크 10위 ..
오늘 내가 배운 것 1. Primary Key 2. 데이터 타입 ENUM 3. Model을 이용한 테이블 만들기 4. Liked 5. 관계형을 위한 정적 메서드 1. Primary Key 기본적으로 PK는 테이블당 1개만 부여 가능하다고 알고 있었다. CREATE TABLE person( first_name VARCHAR(30) NOT NULL, last_name VARCHAR(30) NOT NULL, PRIMARY KEY (first_name, last_name) ); 위에 코드처럼 Primary Key에 두 개의 필드를 적고, 실행을 하면 가능할까? 일단 실행이 가능하다. INSERT INTO person(first_name, last_name) VALUES(1, 1) first_name에 1이 들어..
오늘 내가 배운 것 1. 제약조건 2. 테이블 만들기 2-1. Query문을 이용한 테이블 만들기 2-2. Sequlize - class를 이용한 테이블 만들기 3. 외래키 지정하기 (FK) Query문을 이용한 제약사항 확인하기 3-1. Query문을 이용한 외래키 (foreign key) 지정하기 3-2. Query문을 이용한 외래키 (foreign key) 삭제하기 3-3. Query문을 이용한 외래키 (foreign key) ON DELETE 옵션 3-4. sequelize에서 외래키(foreign key) 지정하기 4. 테이블 JOIN 하기 4-1. Query문을 이용한 JOIN 4-2. sequelize를 이용한 JOIN 1. MySQL 제약조건 테이블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데이터의 정확성, ..
오늘 내가 배운 것 1. 정적 메서드 'static' 2. 접근 제어자 'Private' 3. sequelize를 이용한 테이블 만들기 1. 정적 메서드 'static' 정적 메서드는 클래스 선언 안에 있고, 앞에 'static'이라는 키워드가 붙는다. static staticmethod(){} 기본 사용 예시 class User { static staticmethod() { console.log(this === User) } } User.staticmethod() // true 출력 // 정적 메서드는 인스턴스화 되면 호출할 수 없다. const user = new User() user.staticmethod() // Error 정적메서드 사용 및 주의사항 정적메서드는 인스턴스 생성 후에 사용할 수 없..
오늘 내가 배운 것 1. TDD TDD란? TDD 순서 2. ORM ORM 이란? ORM 장점 ORM 단점 3. Node에서 ORM 사용하기 4. sequelize 설치 TDD TDD 란? - Test Driven Development의 약자로 '테스트 주도 개발'이라고 한다. 기존 코드를 작성하는 방식은 설계를 한 후 코드를 작성하여 개발을 진행한 후에 테스트를 하고 수정사항을 고치는 방식이었다면 TDD 방식은 설계를 한 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서 확인을 하고 실제 코드를 개발한 후에 리펙토링을 하는 방식이다. TDD 순서 - 작은 단위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한다(보통 class 단위) - 테스트를 진행 - 통과될 때까지 테스트 코드를 수정 - 통과된 코드를 리펙토링 - 리펙토링한 코드테스트 - 리펙토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