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목차 1. Nodemon Nodemon Node.js 환경에서 작성되는 코드는 소스코드가 변경될 때 실행되는 파일을 중지 후 재시작해야 변경된 코드를 적용시켜서 보여준다. 하지만 Nodemon을 사용하게 되면, 코드를 변경할 때 자동으로 다시 시작해서 바로 반영되어 보여줄 수 있다. 1. 관련 패키지 설치 $ npm install -D nodemon 2. nodemon.json Nodemon을 실행할 때 여러 옵션이 있는데, 이를 json 파일로 따로 관리하여 nodemon을 실행시킬 수 있다. 여러 옵션이 있지만 중요한 옵션 3가지는 "watch", "ext", "exec"이다. { // 어떤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을 추적할 것인가? "watch": [], // ex) ["src/**/*"] // 어..
오늘 내가 배운 것 1. Cookie (쿠키) 2. Cookie 만들기 3. cookie-parser (쿠키 파서 만들기) 4.npm - cookieParser() 이용하기 1. Cookie (쿠키) http 특징 : 비연결성 http 비연결성인 단점을 보안하기 위해 쿠키랑, 세션을 배운다. 서버가 사용자의 브라우저에 전송하는 작은 데이터 조각이다. 브라우저는 그 데이터들을 저장(예전에 사용해봤던 localstorage와 비슷)해 놓았다가, 동일한 서버에 request message를 보낼 때 저장된 데이터를 함께 전송한다. 쿠키는 두 요청이 동일한 브라우저에서 들어왔는지 아닌지를 판단할 때 주로 사용하고, 이걸 이용하면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하지만 브라우저마다 자동로그인이 차별되어 ..
오늘 내가 배운 것 1. Router객체를 이용한 라우팅 분리하기 2. Controller 분리하기 Router객체를 이용한 라우팅 분리하기 익스프레스(Express)를 사용하는 이유 중 하나는 라우팅을 깔끔하게 관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라우터를 많이 연결하게 되면 server.js 코드가 길어지므로 익스프레스에서는 라우터를 분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router.get/ router.post //등록형태 router.get('/board/list',(req, res)=>{ res.send('/ page') }) //실행 영역 app.use(router) 실행 가능한가? 실행 가능하다. 여기서 주의할 점은 router는 실행하는 부분이 아니다. router는 등록만 하는 것이고, 실제로 실행이 ..
최초에 '127.0.0.1:3000/'로 진입한다. 화면에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면 버튼의 클릭이벤트로 인해 join페이지로 넘어간다. join페이지에 진입하면서 form-input 태그를 이용한 폼이 나온다. 값을 입력하고 전송 버튼을 누르면 Request message를 POST로 요청하고 서버에서는 리다이렉트로 welcome 페이지를 보이게 한다. 리다이렉트를 하면 response message head영역에 location 속성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마지막 welcome 페이지에서 확인 버튼을 누르면 post를 이용하여 최초의 index 화면으로 넘어간다. express를 연습, 통신방식을 확인하기 위해 요청, 응답 메시지를 이용한 구현을 했다. 이벤트 리스너를 이용한 버튼 이벤트랑 server.j..
오늘 내가 배운 것 1. TCP/UDP 2. TCP 통신하기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데이터를 중요하게 생각하여 확실히 주고받고 싶을 때는 `TCP`를 사용한다. TCP는 통신할 컴퓨터끼리 ‘보냈습니다’, ‘도착했습니다’라고 서로 확인 메시지를 보내면서 데이터를 주고받음으로써 통신의 신뢰성을 높인다. UDP(User Datagram Protocol) 데이터의 신뢰성은 보다 빨리 보내고 싶을 때는 ‘UDP’를 사용한다. UDP는 데이터를 보내면 그것으로 끝이므로 신뢰성은 없지만 확인 응답과 같은 절차를 생략할 수 있으므로 통신의 신속성을 높인다. TCP / IP TCP : L4(Transport layer) - 식별자 : Port IP : L3((Network laye..
터미널에 내가 호출한 내용을 '' 로 표현할 예정이다. 오늘 내가 배운 것 1. 내장 객체 global console module __filename과 __dirname process 2. 내장 모듈 3. 외장 모듈 4. Express로 간단한 서버 만들어보기 Node.js Node.js에서 내장 객체, 내장 모듈, 외장 모듈을 사용할 수 있고, 설치하면서 기본적으로 NPM이라는 것이 설치된다. 내장 객체 브라우저에서 window 전역객체 브라우저의 내장 객체로 대표적인 document, location 등등... 자주 쓰는 것을 미리 만들어둔 두었는데 그것을 우리가 사용했었다. 마찬가지로 Node.js도 내장 객체가 있다. 1. global node.js의 전역 객체는 `global`이다.(브라우저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