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작업증명이란?
2. 지분증명이란?
3. 권한증명이란?
다수의 참여자들이 하나의 통일된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알고리즘이고,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말한다.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각 노드가 각각 장부를 가지고 있고 이 장부 내용은 합의 알고리즘에 의해서 동일하게 유지된다.
POW, POS, POA 등이 있으며, POW는 작업증명, POS는 지분증명, POA는 권한증명이라고 한다.
1. 작업증명이란?
POW라고도 하며, Proof of Work의 약자이다.
연산을 누가 더 빨리하는지를 판단하면서, 경쟁하는 과정이 있고, 이 과정에서 가장 빨리 연산을 처리하는 사람만 채굴 및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이 안 좋다는 점이 단점이다. 동시에 채굴을 한 채굴자들 중 1명이 채굴에 성공하게 되면 성공한 채굴자를 제외한 나머지는 기존의 작업을 다 버리게 되기 때문이다.
2. 지분증명이란?
POS라고도 하며, Proof of Stake의 약자이다.
지분을 많이 가지고 있는 노드에게 블록을 생성할 권한을 부여한다. 많은 지분을 가지고 있을수록 많은 블록을 기록할 권한이 생긴다.
이로 인해 빈부격차가 커질 수 있다. 에너지 효율이 좋고, 노드가 암호화폐를 장기간 보유하도록 유도하게 되어, 네트워크 안정성과 보안을 향상할 수 있다. 하지만 많은 지분을 가진 다수의 노드가 조작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공격에 취약할 수 있다.
3. 권한증명이란?
POA라고도 하며, Proof of Authority의 약자이다.
일부에게만 블록을 생성할 수 있는 권한이 생긴다. Private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사용된다.
private이기 때문에 노드로 아무나 참여할 수 없으며 대표적인 사례가 COOV이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백신 접종 증명서의 역할을 했던 COOV도 private 네트워크였다.
권한이 있는 노드만 블록을 생성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때문에, 트랜잭션 속도는 빠르지만, 노드의 개수가 적기 때문에 보안성에는 취약하다.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블록체인 - 트랜잭션 만들기 (1) (0) | 2023.05.02 |
---|---|
블록체인 - 디지털 서명( 전자 서명 ) (0) | 2023.04.30 |
블록체인 일반적인 블록 만들기 (2) - 비트코인 (0) | 2023.04.28 |
UTXO 모델의 기본적인 개념 (0) | 2023.04.27 |
블록체인 일반적인 블록 만들기 - 비트코인 (0) | 2023.04.26 |